Media

'VFX 선두주자' 엠83, 매출 600억 눈앞…흑자 유지

  • 관리자(m83@m83.co.kr)
  • Date 2025.02.22

한한령 해제 기대, 전세계 1위 애니메이션 '너자2' 참여도 호재 시각특수효과(VFX) 전문기업인 엠83(M83)이 지난해 견조한 매출 성장세를 기록했다. 특히 작년 기업공개(IPO)를 마친 엠83은 경쟁사인 덱스터스튜디오를 제치고 국내에서 가장 큰 VFX 기업으로 거듭났다. 어려운 시장 상황에서도 흑자를 기록하기도 했다.

엠83은 최근 전 세계 애니메이션 흥행 1위로 올라선 '너자 2' VFX 참여했고 지난해 노르웨이 VFX·애니메이션 기업 '김프빌(Gimpville)'의 최대주주로 올라서면서 
할리우드 진출을 본격화했다. 시장 상황도 전년 대비 우호적일 것으로 기대된다. 오는 5월 중국 정부가 한한령을 풀 것으로 관측, 국내 콘텐츠 시장 개선에 대한 기대감이 커지고 있다.

◇VFX 시장 내 매출 1위로 껑충…흑자 기조도 유지

금융투자업계에 따르면 엠83은 2024년 연결 매출액 582억원을 기록, 전년대비 38.1% 증가했다. 2023년 기준 국내 VFX업체 중 매출 규모가 가장 컸던 곳은 덱스터스튜디오였다. 
하지만 덱스터스튜디오는 2024년 연결 기준 537억원을 기록하는데 그쳤다.

엠83은 지난해 8월 성공적으로 코스닥 상장을 마쳤고 사업 확장을 위해 광고 기획사인 모츠 지분(51%), 노르웨이 VFX 기업인 김프빌 지분(33.26%) 등을 인수하기도 했다. 
엠83은 과거 드라마 빈센조, 영화 '한산: 용의 출현', '노량: 죽음의 바다' 등의 VFX를 담당했고 20년 이상의 경력을 가진 전문가들이 모여있다.

 
다만 엠83은 영업이익 12억원, 순이익 27억원으로 지난해 대비 73.6%, 52% 감소했다. 이는 영화나 드라마 제작 등 전방산업의 부진으로 수익성이 다소 줄었고 
지난해 기업공개(IPO) 및 종속기업 추가 편입으로 일시적 판매비 및 관리비가 증가한 영향이 있었다.

엠83의 수익성이 다소 축소됐으나 흑자를 내고 있다는 점은 주목할 만 하다. 엠83의 경쟁사인 덱스터스튜디오는 지난해 영업손실 89억원, 순손실 100억원을 기록했다. 

자이언트스텝 역시 173억원 영업손실을 냈다. IPO 당시 비교기업이었던 에이스토리, 스튜디오미르는 각각 35억원, 17억원 영업적자를 낸 것으로 파악됐다.

◇중국·미국 등 해외 진출에 적극적

엠83은 올해에도 성장이 기대된다. 특히 올해 중국 정부가 8년 만에 한한령을 풀 것으로 기대되면서 국내 콘텐츠 업계가 수혜를 입을 것으로 보인다. 

그간 한한령으로 인해 드라마나 영화, 게임 등 한국 콘텐츠의 중국 수출을 위해서는 중국 당국의 심의나 허가를 받아야 했었지만 해제되면 더욱 산업이 커질 수 있다.

엠83은 중국 시장 진출에 공을 들여왔던 터라 한한령 해제는 긍정적일 수 밖에 없다. 올해 1월 개봉한 '너자2'의 VFX에도 일부 참여한 것으로 알려졌다. 

너자2는 중국 작품으로 최근 '인사이드 아웃2'를 제치고 전 세계 애니메이션 흥행 1위를 기록하기도 했다. 최근 전 세계 영화 흥행 8위, 관객 2억명을 돌파하면서 기록을 경신하고 있다.

엠83은 지난해 중국 차세대 감독으로 꼽히는 한연(Yan Han, 韓延) 감독의 신작에서 메인 VFX 제작사로 선정되기도 하는 등 중국 콘텐츠 시장 진출에 적극적이었다. 

한한령 해제와 맞물려 영화와 애니메이션 등 중국향 매출 성장이 기대되는 대목이다.

또한 엠83은 지난해말 노르웨이 기업인 김프빌 지분 33.26%를 30억원에 인수하면서 최대 주주로 올라섰다. 해외 주요 VFX 시장 진출 기반을 마련했다는 평이다. 

엠83은 IPO 당시 공모 자금(240억원) 중 95억원을 해외진출에 배정한 바 있다. 향후 북미와 유럽 지역에 추가적인 인수합병(M&A)을 계획하고 있어 할리우드 진출 가능성도 높게 점쳐진다.

이전글expand_less
"중국 시장 열린다" …'VFX 전문 ' M83, 해외 진출 드라이브
다음글expand_more
춘천시 옛 캠프페이지..VFX 전초기지 육성 (M83, 모터헤드 방문)
close